[CEO풍향계] '투자 축소 없다' 한종희…'1등 금융플랫폼 도약' 윤종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 주간 기업 CEO들 동향을 살펴보는 'CEO풍향계' 시간입니다.<br /><br />이번 주에는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과 윤종규 KB금융그룹 회장 이야기를 김종력, 이은정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.<br /><br />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, 투자 축소 계획은 없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한 부회장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기간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.<br /><br />이 자리에서 설비투자 감축에 대한 질문이 나왔는데요.<br /><br />한 부회장은 "줄이겠다고 공식 발표한 적도 없고 계획대로 추진하고 있다"고 답했습니다.<br /><br />이어 "디바이스경험 부문뿐 아니라 반도체 부문도 그렇게 진행하는 것으로 안다"고 덧붙였는데요.<br /><br />업황 악화가 예상되는 반도체도 투자를 줄일 계획이 없다는 거죠.<br /><br />삼성전자는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이 1년 전 대비 69% 급감하는 실적 충격을 겪었죠.<br /><br />업계에서는 경영 지표 악화를 막기 위해 투자 축소, 반도체 감산 등을 예상했는데, 한 부회장이 이를 일축한 겁니다.<br /><br />또 한 부회장은 "각국에 일상 회복이 가시화되고 있어 좋은 소식을 기대할 수 있을 것"이라며, 코로나 여파로 미뤄졌던 대형 인수합병 작업이 잘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윤종규 KB금융그룹 회장, 2023년 상반기 그룹 경영전략회의를 열고 임직원들과 경영전략을 공유했습니다.<br /><br />우선 윤 회장은 디지털 전환 등 새로운 기류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기업 조직과 운영관리 등 일하는 방식도 디지털 시대에 대응할 수 있게 근본적으로 모두 탈바꿈해야 한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이어 올해 대내외 경영환경이 불확실한 만큼 '지속가능한 내실 있는 성장'과, 위기 상황에서도 언제든지 다시 회복해 제자리로 되돌아갈 수 있는 '회복탄력성'에 대해 참석자들과 의견을 나눴습니다.<br /><br />'넘버원 금융플랫폼'으로 도약하기 위한 구체적 청사진도 제시했는데요.<br /><br />KB스타뱅킹, KB Pay 등 기존 금융플랫폼은 물론 부동산, 헬스케어, 모빌리티 영역을 강화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이번 경영전략회의는 약 8시간 동안 진행됐고, 윤 회장을 비롯한 지주 경영진과 KB국민은행 등 12개 계열사 경영진 27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.<br /><br />최수연 네이버 대표.<br /><br />최근 네이버가 인수한 포시마크를 찾아 임직원들과 상견례를 하고 사내 설명회를 개최했습니다.<br /><br />포시마크는 북미 최대 중고거래 플랫폼입니다.<br /><br />국내에도 유사한 플랫폼이 성업 중이죠.<br /><br />계열사 편입과 함께 최 대표가 직접 미국 샌프란시스코 사옥을 찾은 건데요.<br /><br />최 대표는 "포시마크의 브랜드 정체성에 네이버의 기술·사업 시너지가 더해져 '원팀'으로 빠르게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한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이어 포시마크에 도입될 네이버의 신기술을 설명하고, 오프라인 참석자 800여 명, 호주, 인도 등의 온라인 참여자들과 통합 이후 사업 전략과 기업 문화에 대한 문답 시간도 가졌습니다.<br /><br />앞서 네이버는 포시마크 인수 비용으로 13억1,000만 달러, 약 1조6,600억 원을 투자했는데요.<br /><br />포시마크 인수로 네이버는 한국의 크림, 일본의 빈티지 시티 등과 함께 글로벌 전자상거래 생태계를 구축했습니다.<br /><br />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.<br /><br />기네스북의 최대 재산 손실 부문에 이름을 올렸습니다.<br /><br />미국 언론들은 최근 1년간 머스크의 재산이 3,200억 달러, 약 399조 원에서 1,380억 달러, 약 172조 원으로 줄었다고 전했습니다.<br /><br />1년 만에 절반이 넘는 무려 227조 원의 재산이 사라진 거죠.<br /><br />기네스북도 최근 최다 재산 손실 부문 기록자를 머스크로 바꿨는데요.<br /><br />앞서 이 부문 기록 보유자는 2000년 586억 달러, 약 73조 원 손실을 본 소프트뱅크 창업주 손정의였습니다.<br /><br />머스크의 재산 급감은 테슬라 주가 하락 탓이 큰데요.<br /><br />전기차 업계 경쟁 심화, 코로나19로 인한 중국의 봉쇄, 미국 내 대규모 리콜 등의 영향으로 테슬라 주가는 1년 전과 비교해 약 65%나 폭락했죠.<br /><br />물론, 불황으로 타격을 입은 억만장자가 머스크만 있는 건 아닙니다.<br /><br />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도 최근 1년 동안 800억 달러, 약 100조 원의 손실을 본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윤석열 대통령의 아랍에미리트 방문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정의선 현대차 회장 등 기업인 100명이 경제사절단으로 함께합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올해 복합 위기 상황을 수출로 돌파하겠다는 뜻을 밝혔죠.<br /><br />의미 있는 성과를 기대하겠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CEO풍향계였습니다.<br /><br />#삼성전자_부회장 #KB금융그룹_회장 #최수연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(끝)<br /><br />